앞에서 살펴본 태그 외에도 HTML5에는 여러 가지 새로운 태그들이 추가 되었습니다. 이 태그들 역시 태그 이름만 보고도 어떤 태그인지 쉽게 알 수 있는 시맨틱 태그 입니다.
지금까지는 웹 문서 안의 사진이나 그림에 설명글(caption)을 넣을 방법이 없었는데,HTML5에서는 손쉽게 설명글을
넣을 수 있습니다. <figure>와 <figcaption>태그를 사용하면 됨, <figure>는 설명글을
붙일 대상을 정의하는 태그이고, 무엇이든 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<figcaption>은 <figure>로
정의한 대상에 실질적인 설명글을 붙이는 태그입니다.
다만 <figure>로 정의했다고 해서 모든 대상에 <figcaption>을 붙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.
그리고 <figure>태그 안에는 <img>나 <code>처럼 설명글이 필요한 여러 가지 태그가 올 수
있지만 <figcaption>은 <figure>태그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.
텍스트에 형광펜으로 그은 듯한 강조 표시를 하려고 할 때 HTML4에서는 클래스 스타일을 이용했습니다. 클래스 스타일을
만든 후 그 클래스 스타일 이름을 기억했다가 필요한 부분에 <span>태그나 <div>태그를 이용해서 클래스
이름을 할당해 주는 식인데, 주로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 부분을 강조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.
하지만 HTML5에서는 <mark>라고 하는 시맨틱 태그가 새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훨씬 사용이 편리해졌습니다.
<mark>태그는 CSS를 이용해 강조할 부분의 배경색이나 글자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소속 회사의 메일 주소, 행사 날짜 등과 같은 별도의 정보를 마이크로포맷(Microformats)이라고
합니다. HTML4에는 마이크로포맷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지만 HTML5에서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
마이크로포맷 태그인 <time>태그를 제공합니다.
<time datetime="2012-06-25" pubdate> 2012년 6월 25일</time>
<time>태그에서는 날짜뿐만 아니라 시간도 표시할 수 있는데 시간을 함께 표시할 때는 다음과 같이 날짜 뒤에
T자를 삽입한 후 시간을 적어줍니다. 이때 시간은 24시간제로 표시 합니다.
<time datetime="2012-06-25T13:00:00" pubdate> 2012년 6월 25일 오후 1시</time>
<address>태그는 우편 주소나 메일 주소를 표시하기 위한 게 아니라 웹 페이지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. 즉, 웹 페이지 제작자의 이름이나 제작자의 웹 페이지 주소, 또는 피드백을 위한 이메일 주소,주소, 전화번호 같은 정보들이 포함 됩니다.